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아키텍처 정리2

Android Clean Architecture 와 Android App Architecture - 3 기존에 작성했던 게시글을 이어서 작성하는 내용입니다. 1편에서는 안드로이드의 클린 아키텍처에 대해서, 2편에서는 안드로이드에서 권장하는 앱 아키텍처에 대해서 적어보았습니다. 이번 게시글에서는 두 아키텍처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서 적어볼 예정입니다.공통점 두 아키텍처의 공통점은 이전 글을 작성하면서 어느 정도 설명한 적이 있던 부분입니다. 먼저 관심사가 분리되어 계층형 아키텍처 구조를 이룬다는 점이 있는데요. 안드로이드 앱 아키텍처는 UI Layer - Domain Layer(optional) - Data Layer로 구성되어 있고, 클린 아키텍처 역시 안드로이드에서 Presentation Layer - Domain Layer - Data Layer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세부적인 내용은 조금 다르지만, .. 2024. 7. 26.
Android Clean Architecture 와 Android App Architecture - 1 회사에서 작업을 진행하다가, 뭔가 잘못 사용하고 있는 부분들이 있나 싶어서 다시 확인해봤습니다. 아키텍처를 적용하는 부분에 있어 다른 사람에게 설명하는데 뭔가 어색하거나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있더라구요(제가 짠 코드인데!). 새로운 것도 아니고 이제는 익숙할 때도 됐는데 아직까지 매 번 코드로 적용하는 과정에서 어색함이 느껴진다는 게 웃기기도 하지만, 어쩌겠어요. 다시 정리해야죠. 그래서 이번 주제는 안드로이드에서 사용하는 클린 아키텍처와 안드로이드 앱 아키텍처 가이드에 대해서 소개하고 비교하는 주제로 글을 써볼까 합니다. 일단 첫 번째로 클린 아키텍처에 대해서 다시 정의해야겠어요. 하지만, 이미 많은 블로그에서 이와 같은 부분을 정의하고 있고 사실 거기만 봐도 이론적인 부분은 어느 정도 다 정리되었.. 2024. 6. 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