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벤트 버스2 (android)greenrobot - EventBus 이 글의 주제는 그린로봇이 만든 이벤트 버스라는 라이브러리입니다. 안드로이드에서 사용되는 이벤트 버스는 가장 유명한 것으로 이 greenrobot과 otto가 있는데 저는 이 그린로봇의 이벤트 버스를 사용중이기 때문에 이에 대해 다루게 되었습니다. 위 그림은 이벤트 버스의 동작 방식을 간단하게 도형으로 설명한 부분입니다.(이 그림은 greenrobot의 github readMe에 나와있는 그림입니다.) 소개할 라이브러리를 보기 전에 이벤트 버스의 개념에 대해서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이벤트 버스란 버스 네트워크의 동작 방식과 유사하게 하나의 이벤트를 동일 채널에 연결된 모든 노드(Subscriber)들에게 보내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각 노드들은 채널에 연결되어 있기만 하다면 이벤트를 .. 2021. 4. 6. 디버깅과 릴리즈, 그리고 proguard 요즘 회사에서 코틀린으로 어플을 만들고 있는데(정확히 말하면 수정이지만), 디버깅 모드로 테스트하던 어플이 릴리즈 모드를 통해 다른 회사 사람들에게 테스트용으로 전달했더니 여러가지 기능들이 먹히지 않는 문제를 발견했습니다. 기본적으로 이것저것 검색해본 결과로는 디버그 모드가 릴리즈 모드보다 디버깅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면서 실행이 되기 때문에 속도 차이가 현저하다는 얘기들이 있습니다. 실제로 제가 안드로이드 apk 파일을 만들었을 때, 디버깅 모드는 11Mb, 릴리즈 모드는 8Mb 정도로 데이터 크기부터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속도나 다른 부분에서는 큰 용량의 데이터를 주고 받지 않는다면 크게 체감할 수 없지만, 휴대폰의 사양을 낮췄을 때는 휴대폰이 데이터를 받지 못해 프로그램을 꺼버리는 등의 문.. 2020. 9. 3.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