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98 (android-jetpack)AAC에서의 뷰모델 안드로이드에서 제공하는 안드로이드 아키텍쳐 컴포넌트(Android Architecture Component)의 ViewModel에 대해서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기존 MVVM 모델의 뷰 모델과 동일한 기능을 가진 존재였다면, 그저 디자인 패턴 설명 시에 했던 모델로서 설명이 끝이겠지만, MVVM 모델을 설명하면서 했던 ViewModel과는 분명 다른 존재라고 안드로이드 공식 문서에서도 분명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위와 같은 말이 안드로이드의 MVVM 디자인 패턴을 공부하는 과정에서 제일 많이 들을 수 있고, AAC나 jetpack에 대해 공부하는 과정에서 제일 알기 쉬운 주제입니다. 그러나 글을 쓰는 이유는 안드로이드 프로젝트에 MVVM 모델을 채용하면서 동시에 버전 업을 위해 AAC를 채용하게 되었더니 .. 2021. 3. 30. (android - jetpack)데이터 바인딩 작업 안드로이드의 jetpack 라이브러리가 등장하면서 dataBinding이라는 기술이 안드로이드에도 도입되기 시작했습니다. dataBinding의 개념은 이미 예전부터 버터 나이프 라이브러리와 같은 개념으로 많이 알려져 있었습니다. 하지만 jetpack을 통해 공식적으로 도입된 느낌이 강합니다.(물론 아직까지도 버터 나이프와 같은 데이터바인딩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바인딩은 XML과 기존 코틀린(자바) 코드와의 연결을 기초로 합니다. 이는 특별한 연결 설정 없이 데이터 바인딩을 통해 변수의 변경에 따라 뷰를 변경해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로 인해 더욱 간단하게 view와 관련된 기능과 다른 기능들을 분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여러가지 디자인 패턴을 적용하기 더욱 좋아진다는 것.. 2021. 3. 22. 스프링을 배우기 전에(3) -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스프링을 배우기 전 준비해야 하는 단어입니다. DI라고도 하는 의존성 주입인데요. 이미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하는 동안에 배웠던 단어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필요한 개념이라고도 볼 수 있겠네요. DI(Dependecy Injection)는 코드에서 필요한 객체를 직접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파라미터나 세터등을 통해 외부에서 필요한 객체를 받아와서 사용하는 개념입니다. class PlayList () { val weAre = WeAre() val redSun = RedSun() } class WeAre : Music() { ...//생략 } class RedSun : Music() { ...//생략 } 이러한 클래스가 있습니다. PlayList 클래스 내부에 존재하는 WeAre와 RedSun은 전부.. 2021. 3. 17. (android) 스플래시 화면 만들기 스플래시 화면이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보여주는 로딩 화면을 의미합니다. 처음 스플래시 화면을 도입하게 된 계기는 애플리케이션 구동시 처리해줘야 할 사항이 많은데(버전체크, 기본 데이터 로딩, 서버에 접속 등) 그 일들이 처리되는 동안 제대로 구성되지 않은 화면을 사용자들이 보고 있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완성도가 떨어진다고 판단되어 생겨난 디자인이라고 합니다. 또한 앱을 켤 때 꾸준히 노출되는 디자인이기 때문에 앱 브랜드를 홍보하기 위한 창구로 활용되고 있기도 합니다. 그래서 스플래시 화면은 내부적인 기능이라기 보다는 디자인 적인 측면이 강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이 스플래시 화면을 통해 앱의 완성도를 올리고 있는 추세라 사용법을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물론 스플래시 스크린 자체의 기능은.. 2021. 3. 11. 스프링을 배우기 전에(2) - 빈(bean) 스프링을 배우기 전, 두 번째로 제가 할 일은 빈에 대해 이해하는 것입니다. 물론 제가 공부하는 순서대로 공부를 하시는 분이 많지는 않으실 것 같습니다. 사실 공부 방향은 책에서 참고하는게 좋고, 다들 각자가 생각하는 방향에 맞춰 공부를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일단 빈에 대한 개념을 알아야 스프링을 공부할 수 있다고 생각을 해서 빈에 대해서 먼저 작성해 보겠습니다. 이 빈이라는 것은 java bean도 있고, spring bean도 있습니다. 근래 자바 빈의 의미가 퇴화되면서 빈의 개념이 점점 같은 의미로 수렴 중이라는 말이 많습니다. 그래서 특정 언어에서의 빈의 의미를 찾는다면 모를까, 더 이상 빈이 세부적인 내용만 다를 뿐 틀은 결국 동일하다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자바 빈 자바 빈의 경우는.. 2021. 3. 8. 스프링을 배우기 전에(1) - 어노테이션(Annotation) 회사에서 슬 스프링 부트와 관련된 코딩을 위해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그에 맞춰 스프링에 대해서 어느 정도 공부하고 꾸준히 글로 옮길 예정입니다. 그래서 먼저 스프링을 배우기 전에 필요한 여러가지 단어들 및 기술들을 끄적거린 후, 나중에 잘못 이해한 부분이나 제대로 글로 옮기지 못했던 부분도 수정하고... 회사에서 코딩을 시키기 전까지는 꾸준히 스프링에 대해서 쓸 예정입니다. 그래서 첫 번째 주제는 어노테이션입니다. 이 어노테이션의 사전적 의미는 주석이라고 되어있습니다만, 주석처럼 코드 내부에서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스프링과 관련된 코드를 다루다 보면 다양한 종류의 어노테이션이 등장합니다.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Override와 같은 어노테이션을 사용할 .. 2021. 3. 4. 이전 1 ··· 12 13 14 15 16 17 다음 728x90 반응형